소식∙활동
언론기사
금융교육 프로그램 ‘양’은 많은데…"질·접근성↓"[2030 금융역량 UP ㊤]
- 작성일
- 2024-03-08
- 조회수
- 2465
청년들의 올바른 경제적 자립을 돕기 위해 금융교육이 중요하다는 점은 정부도 인지하고 있다. 금융당국이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제공하는 청년 대상 금융교육의 '양'도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질'은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청년들이 각자 상황에 맞는 맞춤형 정보를 얻기 위한 금융교육은 적을 뿐만 아니라 좋은 프로그램이 열려도 홍보가 부족해 접근성이 떨어진다.
5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최근 3년간 전국 17개 시·도 지방자치단체 중 정기 재무상담, 단발성 특강을 포함해 청년을 대상으로 금융교육을 실시한 곳은 12곳으로 나타났다.
청년 대상 금융교육을 실시한 곳은 △서울 △인천 △부산 △대전 △대구 △광주 △경기 △충북 △충남 △전북 △경북 △제주 총 12곳으로 나타났다. 금융교육이 이뤄지지 않은 곳은 △세종 △울산 △강원 △경남 △전남으로 파악됐다.
서울시는 2021년부터 청년에게 투자법, 재무설계 등 일대일 맞춤형 교육과정을 제공하는 '서울 영테크'를 운영하고 있다. 국제재무설계사(CFP), 재무설계사(AFPK) 자격증을 보유한 전문가가 청년의 금융 상황을 진단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총 3회 상담을 진행한다.
올해 1월 말 금융산업공익재단은 경기도·6대 광역시(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울산)에서 거주지와 무관하게 전국 청년들에게 맞춤형 재무상담을 제공하는 '금융어드바이저 서비스'를 시작했다. 서울시 이외에 각 지자체도 금융사기 피해 안내 예방, 미래두배 청년통장 신청자 대상 재무설계 교육, 부채상담 등을 제공한 바 있다.
다만, 영테크와 금융어드바이저 사업을 제외하고 정부가 진행 중인 금융교육은 대부분 청년 개개인의 상황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e-금융교육센터'에서 557개 금융교육 콘텐츠를 제공 중이다.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에는 청년·대학생 대상으로 한 총 37개 영상이 올라와 있다. 3~7분의 짧은 영상부터 최대 2시간 16분에 달하는 영상까지 다양하다.
문제는 청년들이 모든 동영상을 다 시청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자신에게 딱 맞는 정보를 얻을 가능성도 크지 않다는 점이다. 이정민 서울 영테크 상담사는 "수많은 영상 속에서 무엇이 나에게 적합한 상품인지 알기 어렵다"며 "영상만으로는 '나의 목적에 맞는 숲'을 만들기 위한 '나무' 심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청년 대상 금융교육으로 좋은 프로그램이 열려도 홍보가 부족해 청년들이 잘 알지 못하는 문제도 있다. 서울 영테크의 경우 시행 4회차를 맞았지만, 아직도 모르는 청년이 많은 상황이다. 실제로 지난해 기준 서울시 청년 수는 279만7004명인데 반해 영테크 사업 신청자 수는 같은 해 0.38%인 1만594명에 그쳤다. 서울을 제외한 전국 청년 대상 금융어드바이저 서비스는 1월 22일부터 총 2000명을 목표로 참여자 모집에 나섰고, 한 달가량 지난 지금 신청자는 500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박세헌 청년재단 매니저는 "유튜브 등 다양한 매체에서 제공하는 것도 포함하면 청년 금융 교육의 양이 부족하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라며 "다만, 청년들에게 실제 운영 중인 제도를 소개하고 무엇이 '나'에게 맞는 제도인지 알려주는 실전형 교육은 많이 부족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부 또는 중앙부처 차원에서 서울 영테크를 벤치마킹해 전국적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하면 좋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