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칼럼
칼럼(함께하는 사랑방)

‘나 홀로 사회’의 사회학

작성일
2024-06-24
조회수
532


김호기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


21세기에 들어와 우리 사회에서 가장 눈에 띠는 사회학적 현상 가운데 하나는 ‘나 홀로 사회’의 도래다. 통계가 이를 잘 보여준다. 행안부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우리나라 인구 중 혼자 사는 1인 세대는 1,002만1,413세대로 1,000만 명을 넘어섰다. 전체 2,400만2,008세대의 41.8%를 차지했다. 열 세대 중 홀로 사는 세대가 네 집이 넘으니 우리나라는 이제 ‘나 홀로 사회’로 들어선 셈이다.


나 홀로 세대에서 주목할 것은 연령 구간에서의 규모와 비중이다. 먼저 그 규모에서 60대(60∼69세) 1인 세대는 185만1,705세대로 가장 많았다. 30대(30∼39세)는 168만4,651세대, 50대(50∼59세)는 164만482세대를 기록했다. 한편 연령층 인구 비중도 염두에 둬야 한다. 3월 말 기준 60대 인구가 769만 명, 30대 인구가 656만 명임을 생각할 때, 30대 가운데 혼자 사는 이들의 비중이 60대의 비중 못지않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21세기에 들어와 지구적 차원에서 나 홀로 사회의 경향은 꾸준히 증가해 왔다. 그 원인은 여럿이다.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증대, 이혼·별거로 인한 가족 해체, 고령화에 따른 노인 독신가구의 증가, 그리고 젊은 세대의 비혼·만혼 추세의 강화 등이 주요 요인이었다. 이처럼 그 원인이 경제적 상황, 인구 변동, 개인주의 문화 등 다양한 만큼 나 홀로 사회가 직면한 사회 문제들 역시 다양하다. 1인 세대의 빈곤·일자리·안전 등에 대한 국가의 책임이 어느 나라든 갈수록 커지고 있다.


사회학적으로 나 홀로 사회의 도래는 인류가 오랫동안 유지해온 가족이라는 제도가 쇠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서구 사회든 우리 사회든 앞서 지적했듯 점점 증가해온 1인 세대의 비중은 그 단적인 증거다. 문제는 이러한 나 홀로 사회를 어떻게 볼 수 있느냐다. ‘나’라는 존재의 부상과 ‘우리’라는 가족의 쇠퇴를 하나의 잣대로만 평가하기 어렵다. 공동체를 중시하는 이들에게는 나 홀로 사회의 그늘이 먼저 눈에 들어오겠지만, 개인을 중시하는 이들에게는 나 홀로 사회의 불가피성이 먼저 수긍될 것이다.


내가 말하고 싶은 것은 나 홀로 사회에 대한 성찰적인 태도다. 나 홀로 삶은 분명한 자유로움과 만족감을 안겨줄 수 있다. 그러나 동시에 쓸쓸하고 고독한 삶이다. “우리는 각자 존재하고 나는 홀로 소멸한다”. 나 홀로 사회에 대한 사회학적 관찰자인 지그문트 바우만의 말이다. 혼자 살아간다는 쓸쓸함은 사회적 고립을 강화시키고, 삶에 대한 두려움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고립과 두려움에도 불구하고 개인주의의 행진을 그렇다고 거부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시대의 도도한 흐름이다. 특히 청년세대의 경우 그 경향이 더욱 두드러진다.


바로 이점에서 우리 사회에서는 개인과 공동체의 공존을 어떻게 모색할 것인지가 점점 더 중요한 사회적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개인과 사회의 관계를 다루는 사회학적 관점에서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는 함께 추구해야 할 가치다. ‘따로’ 그리고 ‘함께’ 잘 살아갈 수 있는 새로운 문화를 일궈가야 할 과제를 우리 사회는 안고 있다고 봐야 한다.


내가 강조하고 싶은 것은 나 홀로 사회가 거역하기 어려운 시대적 흐름이라면 이에 대한 국가와 시민사회의 대응이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는 점이다. 먼저 국가와 시민사회는 나 홀로 사회의 공고화에 대응해 사회·경제적 삶의 질을 개선할 사회정책을 강화해야 한다. 주거·일자리·안전 등 1인 세대를 위한 맞춤형 정책을 적극적으로 마련하고 추진해야 한다.


이러한 제도적 과제에 더해 개인적 대응도 중요하다. 나 홀로 사회에서는 자기 삶의 의미를 능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자아의 성찰적 능력이 배양돼야 한다. 또 훼손된 공동체적 유대를 회복할 수 있는 시민문화의 역량이 증가돼야 한다. 개인적 차원에서 자아의 성찰적 힘을 기르고 사회적 차원에서 연대의 시민문화를 일구는 시민교육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추진해야 한다.


시대의 변화를 거역하기 어렵다면 그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21세기 현재, 나의 욕망, 이익, 가치를 선행하는 것은 없다. ‘나’가 있기 때문에 ‘우리’가 존재한다. 그러나 동시에 나의 욕망, 이익, 가치가 배타적으로 추구된다면 ‘우리’는 ‘만인 대 만인의 투쟁’ 상태에 빠질 수밖에 없다. 만인 대 만인의 투쟁 사회의 다른 이름이 ‘각자도생’ 사회다. ‘나’와 ‘우리’의 생산적 공존을 추구하는 새로운 삶을 어떻게 일궈 가느냐에 우리 사회의 미래가 달려 있다고 나는 생각한다.


안내 메시지

안내 메시지

   취소

해당 서비스는 로그인을 진행해야 사용 가능 합니다.